케네디 대통령 암살 문건 공개일이 지난 후에도 전면 공개를 거부하는 바이든

케네디 대통령 암살 문건 공개일이 지난 후에도 전면 공개를 거부하는 바이든

미 국가기록원이 1963년 존 F. 케네디 암살 사건에 대한  문서 전면 공개 예정일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문건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30일에 발표한 메모에서 국가기록원이 5월에 케네디 암살 기밀 문건에 대한 검토를 마쳤고 기밀 해제가 승인된 문건들이 공개되었다고 밝혔다.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사건의 조사를 맡은 워런위원회는 2039년까지 조사 문건을 봉인할 것을 국가기록원에게 지시했으나 의회가 1992년에 통과시킨 JFK 기록 법에 의해 기한이 2017년으로 앞당겨졌다.

 

그러나 2017년 당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CIA, FBI 등의 정보부의 강한 저항에 부딪혔고 수만 건의 문서를 공개했으나 대부분의 중요한 단어들이 가려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국기기록원에 추가 문건 공개 검토를 지시했고, 작년 12월에 14,000개 이상, 올해에는 2,600개 이상의 문건이 공개되었으나 예정된 전면 공개는 없었다.

 

백악관 대변인 카린 장 피에르는 정부 투명성에 대한 지속적인 약속이 지켜졌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 하에 기관들은 2021년 이후 1만 6천 개 이상의 기록을 완전히 기밀 해제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공개하라는 그의 지시를 반영합니다. 단, 그렇지 않은 가장 중요한 이유들이 있는 정보는 제외됩니다.”

 

“그 결과, 소장되어 있는 기록의 99% 이상이 현재 국가기록원에서 공개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국가기록원은 전체 소장 기록을 디지털화하여 대중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암살된 케네디 대통령의 조카이자 민주당 경선에 참여하고 있는 환경 및 인권 변호사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바이든 대통령의 일부 문건 비공개 결정을 트위터에서 강하게 비난했다.

 

“이건 음모에 관한 것이 아니라 투명성에 관한 것입니다. 백악관은 금요일 밤 자정 발표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일부 JFK 암살 관련 기록에 대해 무기한 비밀을 지키겠다는 나쁜 소식을 전했습니다.”

 

“암살은 60년 전의 일입니다. 어떤 국가 안보 비밀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까? 그들은 무엇을 숨기고 있습니까?”

 

“백악관의 발표는 불법입니다. 1992년 JFK 기록 법은 모든 암살 관련 기록이 늦어도 2017년 10월까지 공개될 것이라는 약속과 함께 의회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되었습니다. 이 약속은 이 자정 발표로 다시 한번 깨졌습니다.”

 

케네디 대통령의 장례식에서 경례하는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1963년 11월 22일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사망한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범으로 미 해군 출신의 리 하비 오스왈드가 체포되었으나 그는 자신이 죄를 뒤집어썼다는 말을 하며 경찰서에서 두 차례 전화 통화를 했으나 통화 상대방의 신원이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고 있다.

 

이틀 뒤 오스왈드는 허술한 경비 속에 감옥으로 이송되던 중 나이트클럽 소유주 잭 루비의 총을 맞고 현장에서 사망했다. 매우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관련된 음모가 있다는 말을 남긴 후 침묵을 지키던 루비는 1967년 1월 3일에 두 번째 재판을 앞두고 댈러스 병원에서 사망했고 사인은 암으로 발표되었다.

 

형을 잃은 법무장관 로버트 케네디는 공석이 된 대통령 자리에 오르는 린든 존슨에게 “왜 내 형을 죽였습니까?”라고 물었다는 주장이 있다. 대권 도전을 선언한 로버트 케네디는 1968년 6월 5일에 민주당 경선 승리를 축하하는 자리에서 총에 맞고 사망했다.

 

암살범은 팔레스타인 이민자 서한 서한으로 발표되었으나 감옥에 있는 그를 만난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는 그가 범인이 아니라고 말하며 그의 가석방을 요구하고 있다.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기록이 전면 공개되지 않는 이유로 그의 암살과 관련된 군과 정보부, 그리고 정보 공개로 발생하는 외국 정부와의 불편한 관계 등이 언급되고 있다.

 

 

 

 

 

Share this p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