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 ‘아이들의 코로나 사망은 대단히 드물다’

네이처, ‘아이들의 코로나 사망은 대단히 드물다’

컨스피러시 뉴스입니다. 네이처에 7월 15일에 실린 글을 소개합니다. 아이들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코로나19의 위험을 분석한 연구를 다루고 있는 이 기사는 연구진이 발표한 논문과 전혀 관련이 없는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두 차례 언급하고 있습니다.

 

발표된 연구와 관련 없는 기자의 개인적인 의견은 번역에서 제외했습니다. 번역에서 제외한 몇 개의 문장이 궁금하신 분은 직접 이곳에서 원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에서 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연령층인 아이들과 청소년 사망자는 한 명도 없으며, 전체 국내 확진자 중 해당 연령층이 차지하는 비중(10대 7.65%, 10대 미만 4.73%)도 성인에 비해 크게 낮습니다.

 

 

 


 

아이들의 코로나 사망은 대단히 드물다

 

 

영국 전역의 병원 입원과 보고된 사망자에 대한 조사에서 코로나19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어린이와 젊은 층에서 사망하거나 집중적인 치료를 필요로 하는 위험이 낮다는 종합적인 분석 결과가 나왔다.

 

동료 심사를 앞두고 medRxix에 공개된 일련의 논문에서 연구진은 영국의 18세 미만 환자들에 대해 보고된 모든 병원 입원과 사망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해당 연령층에서 25명 만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자의 약 절반은 튜브 공급이나 호흡 보조와 같은 건강 관리 요구가 높은 복합적인 기저질환을 가진 개인에게 발생했다.

 

연구진은 어린이와 청소년에 대한 기록을 찾아 나섰고, 최종적으로 57개의 연구와 19개국의 데이터를 분석한 후, 데이터에서 심각한 질병과 사망에 대한 위험 요인을 선별했다.

 

연구 결과

 

연구진은 비만, 심장 또는 신경학적 질환을 포함한 일부 질환이 사망 또는 집중 치료의 위험성과 관련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영국 리버풀 알더 헤이 소아 병원의 소아과 전문의인 레이철 하우드 박사는 언론 브리핑에서 이조차도 절대적인 위험의 증가가 매우 미미했다고 말했다.

 

연구자들은 영국에 초점을 두고 18세 미만 청소년들의 중환자실 입원과 사망에 대한 전국적인 건강관리 자료를 이용했다. 그 결과, 코로나19로 병원에 입원한 아동과 청소년 6,338명 중 259명 만이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흑인 아이들은 백인 아이들보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희귀 증후군인 소아 다기관염증증후군에 집중 치료를 필요로 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종합적으로 볼 때, 이러한 환자들 사이에는 집중치료의 필요성이 “놀라울 정도로 드물었습니다”라고 런던 아동보건 대학 그레이트 오몬드 스트리트 연구소의 연구 저자인 조셉 워드는 말했다.

 

2020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영국에서 18세 미만 인구 1,200만 명 중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자 3,105명 중 25명이 코로나19로 사망했는데, 이는 이 연령대 인구 백만 명당 약 2명에 해당된다. 저자들은 사망자 중에 천식이나 제1형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이 없었으며, 약 절반은 다른 원인으로 사망하게 되는 건강한 아이들에 비해 위험도가 더 높은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종합해 보면, 코로나19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에 취약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아이들을 보호하는 부모들에게 약간의 위안이 될 수 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청소년 건강을 연구하는 러셀 바이너는 기자들에게 “첫 번째 대유행 동안 소아과 의사들 사이에서는 아이들에 대한 보호 장치 사용이 아마도 지나쳤습니다”라고 말했다.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의 감염병 전문가 엘리자베스 휘터커는 “어떤 경우에는 그러한 노력이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보호 장치가 많이 샙니다. 보호 장치가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마도 이득보다는 가족들에게 더 많은 스트레스와 걱정을 끼쳤을 겁니다.”

 

다른 연구들에서도 어린이는 가벼운 초기 증상을 보이거나 증상이 없는 아이를 포함해도 코로나19 발생 빈도가 어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Share this post